영자신문/잡지 해설/Time

독재자 다루기: 가다피와의 만남-타임해설-

mike kim 2011. 3. 2. 06:00

Dealing with Dictators:
My Meeting with Muammar

By Romesh Ratnesar Monday, Feb. 28, 2011


Libyans step on a carpet showing the defaced image

of leader Muammar Gaddafi on Feb. 25, 2011, in Benghazi

John Moore / Getty Images




About a year and a half ago, I spent some time with Muammar Gaddafi. He was in New York City to address the U.N. General Assembly and was staying in a nondescript concrete building on Manhattan's East Side. Through the American p.r. firm that managed his Western press coverage, Gaddafi had agreed to be interviewed by Michael Elliott, the editor of TIME International, and me. Michael and I made our way through a gauntlet of machine-gun-toting cops, secret-service agents and assorted swarthy tough guys. While we waited for Gaddafi, members of his all-female praetorian guards paced the room, dressed in desert khakis, black berets and leopard-skin stiletto heels. We were given only one ground rule for the interview: when directing questions to Gaddafi, we were to refer to him as "Brother Leader."

약 일년 반 전에, 나는 무암마르 가다피와 잠시 시간을 보냈었다. 가다피는 유엔총회 연설을 위해 뉴욕시에 있었는데 맨하탄 동부의 정체 모를 콘크리트 건물에 묵고 있었다. 그의 서방언론 홍보를 담당하고 있는 미국회사를 통해서 가다피는 타임인터내셔널 편집장인 마이클 엘리엇과 나와의 인터뷰에 동의했었다. 마이클과 나는 거무스레하고 강인해 보이는 남자들로 선별된 비밀요원들이 기관총을 들고 호위하는 사이를 뚫고 나아갔다. 가다피를 기다리는 동안 카키색 군복에 검은 베레모와 표범무늬 하이힐을 신은 여성 근위병들이 방을 일정한 속도로 왔다 갔다 했다.  인터뷰에는 기본원칙이 있었는데, 가다피에게 질문할 때는 그를 형제지도자라고 불러야 했다.

*괴로운 상황, 혹독한 시련. / Run the gauntlet of reporters. 기자들에게 호되게 당하다.

*Praetorian Guard 근위병



At last Gaddafi emerged. He had a waxy complexion and a thin goatee, and wore something resembling a cape. He greeted us indifferently, sat down and started speaking. At least, I think he did. According to the translation, Gaddafi discussed Iran's nuclear program, the Arab-Israeli conflict and the Lockerbie bombing. But it mostly sounded like a series of grunts and mumbles. Gaddafi looked wan and distracted. Fearing for the colonel's safety, his American handlers had refused to allow him outside the grounds of the Libyan consulate. When we asked about his impressions of America, he said, "We didn't see anything." He hardly came off as an international menace; if anything, this was a tired old man struggling to outrun his past. As we shook hands and left, I actually felt sorry for him.

드디어 가다피가 모습을 드러냈다. 밀랍 빛 피부에 가는 염소수염, 망토 비슷한 옷을 입고 있었다.  그는 무관심하게 우리에게 인사를 하고는 앉더니 말을 시작했다. 적어도 그는 그랬던 것 같다. 통역의 말에 의하면 가다피는 이란의 핵프로그램과 아랍과 이스라엘의 갈등, 그리고 로커비 상공 팬암103기 폭파 사건에 대해 말했다고 한다. 가다피는 창백하고 산만해 보였다. 가다피 대령의 안전을 이유로 미국인 책임자는 가다피가 리비아 영사관 관내를 벗어나지 못하게 했다. 우리가 미국의 인상에 대해 묻자,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 라고 말했다. 국제적으로 위협이 될만한 인물은 거의 아니었다. 차라리 과거에서 벗어나려고 몸부림치는 피곤한 늙은이였다. 악수를 하고 자리를 뜨면서 나는 사실 그가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Pan Am Flight 103 was Pan American World Airways' third daily scheduled transatlantic flight from London Heathrow Airport to New York's John F. Kennedy International Airport. On Wednesday 21 December 1988, the aircraft flying this route—a Boeing 747–121 named Clipper Maid of the Seas—was destroyed by a bomb, killing all 243 passengers and 16 crew members.[1] Eleven people in Lockerbie, in southern Scotland, were also killed as large sections of the plane fell in the town and destroyed several houses, bringing total fatalities to 270. As a result, the event has been named by the media as the Lockerbie bombing. The bombing was ordered by Muammar Gaddafi, the current ruler of Libya.

 

It may seem unfathomable now, but the Gaddafi who came to New York City that fall had worked hard to convince the world he was a changed man. He gave up his nuclear-weapons program and renounced terrorism. He cooperated with the U.S. in the war against al-Qaeda. In return, Washington lifted sanctions. Western money poured into Libya. Condoleezza Rice visited Tripoli. But to his own people, Gaddafi never changed. He was still a murderous megalomaniac, a leader who claimed to be egalitarian even as he allowed his sons and cronies to pocket billions from the country's oil industry. The only mercy in Libya's current unraveling is that the Brother Leader has once again consigned himself to the global-pariah club.

지금은 도무지 헤아릴 수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때 가을에 뉴욕에 온 가다피는 그가 변했다는 것을 세상에 설득하려고 무던히 노력했었다. 그는 핵무기도 포기했고 테러도 포기했다. 알카에다와의 전쟁에서 미국과 협력했다. 보답으로 미국은 제재를 해제했다. 서구의 자금이 리비아로 흘러 들었다. 콘돌리자 라이스가 트리폴리를 방문했다. 하지만 그의 국민들에게 가다피는 결코 변한 게 아니었다. 그는 여전히 흉악한 과대망상증환자였고, 그의 아들과 일당들이 리비아 석유산업으로부터 수십억 달러를 챙기게 하고도 자신을 평등주의자라고 주장하는 지도자였다. 작금의 리비아에서 일이 풀려가는데 있어 유일하게 다행인 것은 이 형제지도자가 다시 한번 자기 자신을 국제왕따클럽에 넘겨버린 것이다.

*알카에다; Osama bin Laden이 이끄는 이슬람 국제 테러조직.



The Gaddafi example thus highlights a persistent dilemma for U.S. policymakers: Should we negotiate with dictators? In most respects, the West's decision to engage Gaddafi has turned out to be a disastrous bargain. Far from initiating domestic reforms or improving human rights, the Libyan leader used the legitimacy conferred on him by the West as cover to crush dissent and steal more of his country's wealth. Whatever cooperation the U.S. established with Tripoli has now been severed irreparably. It's inconceivable that any Western government will have anything to do with Libya so long as Gaddafi is in power. And yet the world may still inherit a failed state when he goes.

가다피의 사례는 미국의 정책입안자들에 있어 계속되는 딜레마를 잘 보여준다: 우리는 독재자와 협상을 해야 하는가? 대부분의 경우에서, 가다피를 포용하려는 서방의 결정이 비참한 흥정의 결과를 가져왔다. 국내 개혁을 실시하고 인권을 향상시키기는커녕, 이 리비아 지도자는 반대의견을 묵살하고 더 많은 국부를 강탈하는데 서방이 자신에게 부여한 합법성을 방패로 이용했다. 미국이 리비아와 구축한 협력이 무엇이 됐건 지금은 단절되어 복구할 수도 없다.  어떤 서방 정부도 가다피가 권좌에 있는 한 리비아와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다. 그럼에도 세계는 가다피가 사라지면 실패한 국가를 물려받아야 할 지도 모른다. 


This isn't the first time we've been taken in by a tyrant. Franklin D. Roosevelt and Harry S. Truman believed they could persuade Stalin to work constructively with the U.S. after World War II; Stalin annexed Eastern Europe instead. Bill Clinton cut a deal in Dayton with Slobodan Milosevic to end the fighting in Bosnia in 1995, then three years later, he had to go to war against Milosevic in Kosovo. A succession of U.S. Presidents has tried in vain to make sense of Kim Jong Il's diplomatic feints, while watching as North Korea adds to its stockpile of nuclear weapons.

우리가 독재자에게 속은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루즈벨트와 트루만도 2차 대전 후 스탈린을 설득해서 건설적으로 미국과 협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스탈린은 그 대신 동유럽을 합병했다. 빌 클린튼은 밀로세비치와 테이튼에서 1995년 보스니아 내전을 종식시키자고 협상했다. 3년 뒤 클린튼은 코소보에 밀로세비치와 전쟁을 치르러 가야만했다. 계속해서 미국 대통령들은 김정일의 외교적 페인트 모션을 이해하려고 했지만 헛수고였다. 그러는 중에 북한이 핵무기를 비축하는 것을 지켜만 봤다.

*cut a deal; make an arrangement with sb


Engaging dictators is rarely a winning proposition. But that doesn't mean it has no place in diplomacy. Doing business with repellent leaders and regimes may offend our moral sensibilities, but it is often the only way to achieve larger strategic aims. FDR needed Stalin's support to finish the war against the Axis powers, even if that meant sacrificing Poland. The Dayton accords left Milosevic in power, but they also ended a bloody war and saved the lives of tens of thousands of Bosnian Muslims. We may loathe the Taliban, but negotiating with them is essential to finding a way out of Afghanistan. And however cynical it appears now, the West's brief dalliance with Gaddafi did produce one lasting benefit: the termination of Libya's nuclear ambitions. The power struggle under way in Tripoli poses real dangers to the stability of the Middle East, but imagine a scenario in which control of an active nuclear-weapons program hung in the balance.

독재자를 포용하는 것이 우선의 전제가 되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것이 외교에 있어서 자리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불쾌한 지도자나 정권과 협상하는 것이 우리의 도덕적 감수성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이 종종 더 큰 전략적 목표를 획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루즈벨트는 2차 대전 주축국들과의 전쟁을 끝내는데, 비록 폴란드를 희생시켜야 했지만, 스탈린의 지원이 필요했다. 데이튼 협정은 밀로세비치를 권좌에 앉혔지만 유혈전쟁을 종식하고 수만의 보스니아 무슬림의 생명을 구했다. 우리는 탈레반을 몹시도 싫어할 지 모르지만 그들과 협상하는 것이 아프가니스탄에서 빠져 나오는 길을 찾는데 꼭 필요하다. 그리고 지금 냉소적으로 보일지라도, 서방이 잠시 가다피와 시간을 낭비한 것이 리비아 핵 야심의 종료라는 영속적인 이익을 만들어 냈다. 리비아에서 진행중인 권력투쟁은 중동안정에 실재하는 위험이 되고 있다. 하지만 핵무기 프로그램의 통제가 불안정한 시나리오를 상상해 보라.

*the Axis powers 주축국(2차 세계 대전 때)

*His fate hangs in the balance. or His fate hangs by a thread[hair]. 그의 운명은 풍전등화와 같다.

 

In the end, the biggest folly is not engagement itself. Instead, it's the belief that the continued rule of tyrants like Gaddafi represents any kind of long-term stability. For too long, American leaders have declined to condemn the human-rights abuses of those Arab strongmen who happened to be in our favor. That approach has only damaged our prestige and allowed the Mubaraks and Gaddafis of the world to profit at their citizens' expense. A more sensible strategy would be to insist that such regimes open up their political systems and respect the will of their people as a condition of maintaining normal relations with the U.S. If there is any lesson to be learned from the events remaking the Arab world, it is surely that America should stop betting on dictators. There may be occasions when we have no choice but to do business with them. But we should be unafraid to state whose side we're really on.

결국, 가장 어리석은 짓은 포용정책 그 자체가 아니다. 가다피와 같은 폭군의 계속되는 통치가 어떤 장기적인 안정을 나타낸다는 믿음이다. 너무나 오랫동안 미국의 지도자들은 공교롭게도 우리 편이 된 아랍 독재자들의 인권침해를 비난하지 않았다. 이런 접근은 단지 우리 명성에 해를 입혔고 무바라크와 가다피 일가가 그들 국민들의 희생으로 이익을 챙기게 했다. 더 현명한 전략은 그러한 정권이 미국과 정상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그들의 정치제도를 공개하고 국민들의 의지를 존중하라고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것이다.  아랍세계를 재편하고 있는 사건들에서 배울 교훈이 있다면, 분명 미국은 독재자를 두고 도박하는 것을 그만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과 어쩔 수 없이 협상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진정 누구 편인지 천명하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Text copyright by mike[Kim young dae],

No part of this material maybe used or reproduced in any manner whatsoever without written permission
except in the case of brief quotations.

For more information; mike5007@hanmail.net  

영화, 미드, 영자신문 온라인스터디 모집; 클릭하세요      
                              ◀ 해설본 문의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Main Page로 이동

           가격부담 없이 실전영어 능력 확실히 키워드립니다. 말 못하고 글 못쓰는 영어와  작별하십시오.


                                효과만점 mikekim 일대일 온라인 영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