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자신문/잡지 해설/Time

[타임해설] 무엇이 인류의 일부일처제를 촉진시켰나

mike kim 2014. 6. 18. 18:47

The Ancient Sexual Revolution that May Have Spurred Human Monogamy

 

 

영화, 미드, 영자신문 온라인스터디 모집; 클릭하세요

 

 

 

Monogamous, romantic love — or, more prosaically, pair-bonding — may have evolved in a sexual revolution that could have laid down the roots of the modern family, according to an intriguing new mathematical model.

흥미로운 새 수리적 모형에 의하면 일부일처제의 로맨틱한 사랑-- 좀 더 지루하게 표현하자면 암수 한 쌍의 관계는 현대적 가족의 뿌리를 내릴 수도 있었던 성혁명 속에서 진화했을 지도 모른다.

*pair-bond [생물] 한 쌍의 암수 관계. / lay down the roots of something: to create the conditions for something (perhaps a once temporary state) to become permanent.

 

Researchers have long wondered why — unlike our sexually promiscuous chimpanzee-like ancestors — humans developed strong pair bonds with individual partners. It’s thought that at one time, human ancestors did engage in chimp-like habits of sex and child-rearing, in which strong alpha males mated freely with the females of their choice, and then left the child-raising duties to them. So, the question is, How did we got from there to the modern-day monogamous, two-parent family?

연구자들은 왜 인간은 성적으로 난잡했던 침팬지 같았던 조상들과는 달리 개별적인 파트너와 강력한 암수 한 쌍의 관계를 발전 시켰는지 오랫동안 궁금해 해왔다. 옛날에는 인간의 선조들이 침팬지와 같은 성과 육아의 습성이 있었고, 그런 상황에서 강한 우두머리 수컷은 자신이 선택한 암컷과 자유롭게 짝을 짓고 암컷에게만 육아의 의무만 떠 넘겼다고 생각된다.

*álpha mále  (침팬지 등의) 우두머리 수컷.

 

“People have been discussing ways by which the transition from promiscuity to pair-bonding could have occurred and there are various different scenarios,” says study author Sergey Gavrilets, distinguished professor of ecology, evolutionary biology and mathematics at the University of Tennessee in Knoxville. “What I’ve done is shown mathematically that some of these scenarios are more likely than others.”

사람들은 난교에서 암수가 한 쌍을 이루는 관계로 전이가 발생할 수 있었던 방식에 대해 논의했고 또 그 방식에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존재합니다.” 연구 저자인 녹스빌의 테네시 대학의 생태학, 진화생물학 그리고 수학자인 세르게이 가브릴레츠의 말이다. “제가 연구한 것은 이 시나리오 중 몇 몇이 다른 것들보다 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수리적으로 보여줍니다.”

 

Gavrilets study suggests that a sexual revolution occurred, led by low-ranked males and faithful females. Low-ranked males, who had no hope of physically overcoming the dominant members of their groups, instead began providing extra food to certain females, to curry sexual favor. These females responded by remaining faithful to their breadwinning males. That change in behavior favored the reproductive success of these monogamous couples — pair-bonding offered a greater likelihood that their children, who took a lot of effort to raise, would survive — ultimately moving humanity away from a promiscuous mating system dominated by alpha and beta males.

가브릴레츠의 연구에 의하면 성 혁명은 서열이 낮은 수컷과 충실한 암컷에 의해 일어났다고 한다. 그룹 내에서 우세한 수컷들을 육체적으로 극복할 희망이 없었던 낮은 서열의 수컷들이, 그 대신 성 해소를 위해 비위를 맞출 목적으로 특정 암컷에게 여분의 음식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행동에 있어 이런 변화가 이 일부일처 쌍들의 번식 성공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암수가 한 쌍을 이룸으로써 기르는데 많은 노력을 들인 자식들이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결국 인류를 강한 수컷들이 장악했던 난잡한 짝짓기 시스템에서 떼어 놓았다.

*curry favor 비위를 맞추다, [남에게] 알랑거리다[with ‥].

 

Gavrilets reasons that males in promiscuous hierarchical species face a dilemma because the alpha and beta males tend to get all the mating action. Lower-ranking guys have two choices: either compete their way to the top and win reproductive opportunities, or look for ways to beat the system.

가브릴레츠는 난잡한 계급제적 인류의 수컷들이 강한 수컷들만 짝짓기 행위를 독식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딜레마에 직면했다고 추론한다. 서열이 낮은 수컷에게는 두 가지 선택이 있다. 경쟁해서 상위 계급이 되어 번식기회를 획득하든지, 아니면 이 짝짓기 시스템을 격퇴하는 것이다.

 

“They can put effort into achieving high-dominance status. If they do, they will have more mating opportunities and more offspring,” says Gavrilets. “On the other hand, they can do something else. They can try to increase the survival of their own offspring directly and that would also increase the potential for greater numbers of surviving offspring.”

그들은 지배적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더 많은 짝짓기 기회와 더 많은 자손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가브릴레츠의 말이다. “반면, 뭔가 다른 것도 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으로 자신들 자손들의 생존을 증대시키려고 노력할 수 있습니다. 이것 또한 더 많은 수의 자손들이 생존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One way a male could do this is simply by guarding a particular female and making sure no other males can mate with her. Or he could exchange food for sex with a variety of females, in something like an early version of prostitution.

수컷이 이렇게 할 수 있었던 하나의 방법은 다만 특정 암컷을 보호하고 다른 수컷들이 그 암컷과 짝짓기를 못하게 확실히 해두는 것이다. 아니면 그 수컷은 다양한 암컷과 짝짓기를 위해 음식을 교환할 수도 있었다. 초기의 매춘 형태 같은 방식이다.

 

Alternatively, a male could provide extra food to a specific female exclusively, thereby getting more chances to mate with her and also helping her and her offspring survive with the increased nutrition. “Males get a double benefit. There’s the immediate benefit of more mating. [Having more food] also increases female fertility and decreases the interbirth interval so you can have more kids more often,” Gavrilets says.

그 대신에 수컷은 특정 암컷에게 독점적으로 여분의 음식을 제공할 수 있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 암컷과 더 많은 짝짓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 또한 영양공급이 증대되어 암컷과 자손들이 살아 남는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수컷은 이중의 혜택을 갖습니다. 당장은 짝짓기를 더 많이 할 수 있습니다. 먹을 것이 더 많다는 것은 암컷의 번식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출산 간격을 줄임으로써 더 많은 자손을 더 자주 가질 수도 있게 합니다.” 가브릴레츠의 말이다.

 

Another male strategy could be to help out with kids directly — whether they’re his offspring or not. By helping all of the group’s mothers raise their children, the males help increase the offspring’s chances of survival, presumably including those that he fathered.

또 다른 수컷의 전략은 직접적으로 자손들을 돕는 것이었을 것이다. 자신의 자식이든 아니든 상관이 없다. 그룹 내 자손을 양육하는 모든 어미를 도와 줌으로써 수컷들은 자손들의 생존 가능성을 증대 시킨다. 아마도 자신이 친 자손까지 포함해서 말이다.

 

In Gavrilets mathematical models, the only scenario that appeared to push humans away from promiscuity was one in which males — low-ranking males, to be specific — provisioned one female. (Thankfully, love doesn’t seem to have its roots in the oldest profession.) “What happens is that for guys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y who are weak or small and who would never be able to win competitions, mate-provisioning becomes a very valuable option” says Gavrilets. “They start provisioning the females first and then females develop a preference for provisioning, and then [begins] the whole process of the co-evolution of male provisioning and female faithfulness.”

가브릴레츠의 수리적 모형에서 유일하게 인간을 난교로부터 밀어 낸 것처럼 보이는 시나리오는 수컷들이 –-구체적으로 서열이 낮은 수컷들한 암컷에게 먹을 것을 제공했다는 시나리오다. (고맙게도 사랑은 그 뿌리를 그 가장 오래된 직업에 두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작고 힘 없어서 경쟁에서 결코 이길 수 없는, 계급제의 바닥에 있는 수컷들에게는 짝에게 먹을 것을 제공하는 일이 아주 귀중한 선택이 되는 일이 발생 한다는 것입니다.” 가브릴레츠의 말이다. “그 수컷들이 암컷들에게 먼저 먹을 것을 제공하기 시작하고 암컷들은 먹을 것을 제공받는 일이 좋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수컷의 먹이 제공과 암컷의 충절이 같이 진화하게 되는 온전한 과정이 시작됩니다.”

 

                                                               -중략-

 

Whatever started it, Gavrilets notes, humans’ transition to monogamy was much more radical than the sexual revolution of the 1960s — even though it w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Not many people realize that the most important sexual revolution for our species probably happened several million years ago,” Gavrilets says. “This revolution was accomplished by the masses of lower-ranked males, along with females, directly against the elite of alphas, so the term revolution is even more appropriate.”

무엇이 그것을 시작했던 간에, 인류의 일부일처제로의 전환은, 비록 그 방향은 반대였지만, 1960년대의 성혁명보다 훨씬 더 급진적이었다 라고 가브릴레츠는 주목한다. “우리 인류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성혁명이 아마도 수 백만 년 전에 일어났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적습니다.” 가브릴레츠의 말이다. “이 혁명은 암컷들과 함께 다수 무리의 수컷들에 의해 우두머리 권력집단에 항거해 완수되었습니다. 그래서 혁명이라는 용어가 훨씬 더 적절한 것입니다.”

*당시 성혁명의 핵심은 여성의 성욕을 인정할 뿐만 아니라 결혼과 성애, 재생산과 성애를 적극적으로 분리시키며, 여성들 스스로도 쾌락 그 자체를 위한 성욕의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 성애는 가족이라는 틀을 넘어 개인들의 자유로운 선택의 문제가 됨.

 

 

Text copyright by mike[Kim young dae],

No part of this material maybe used or reproduced in any manner whatsoever without written permission
except in the case of brief quotations.

For more information; mike5007@hanmail.net


해설본 문의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영화, 미드, 영자신문 온라인스터디 모집; 클릭

Main Page로 이동

       가격부담 없이 실전영어 능력 확실히 키워드립니다. 말 못하고 글 못쓰는 영어와 작별하십시오.

 

         효과만점 mikekim 일대일 온라인 영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