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자신문/잡지 해설/Time

[타임해설] 음악을 평하는 것은 건축을 춤으로 평하려는 것과 같다

mike kim 2014. 8. 25. 09:00

Understanding Why Music Moves Us

영화, 미드, 영자신문 온라인스터디 모집; 클릭하세요

 

 

They say that writing about music is like dancing about architecture. But why don’t we dance to paintings— or for that matter, buildings— anyway? The latest research hints at why.

음악을 평하는 것은 건축을 춤으로 평하려는 것과 같다라고 들 한다. 그런데 어쨌든 그림에 맞춰 춤을 추고, 말이 난 김에, 건물에 맞춰 춤을 추면 어떨까? 최근 연구가 그 이유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e obvious meaning is that music carries its own message to the listener, and hence discussion on it is unlikely to add anything and hence is pointless...just like dancing can say nothing about architecture.

According to a study published in th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music and dance share a parallel expression of emotion. The new research suggests that the two disciplines can express a mood together, with complementary methods of generating the dynamics of feeling.

국립과학 아카데미 회보에 실린 연구에 의하면 음악과 춤은 비슷한 경향의 감정표현을 공유한다고 한다. 새 연구에 의하면 두 분야는 감정의 강약을 발생시키는 데 있어 서로 보충하는 방식으로 어떤 기분을 같이 표현할 수 있다고 한다.

The intuitive link between our feelings and movements is so strong that even the word “emotion” includes the word “motion.” And across cultures, the three-way connection between music, motion and feelings is maintained, such that being “moved” by either feelings or music is not just a concept of English-speaking people.

감정과 동작간의 직관적인 유대관계는 아주 강해서 심지어 emotion(감정, 정서)라는 단어가 동작을 의미하는 motion을 포함하고 있다. 여러 문화에 걸쳐, 음악, 동작 그리고 감정 사이의 3방향 연계는 뚜렷해서 감정이나 음악에 의해 몸을 움직이는 것은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만의 개념은 아니다.

To better understand the roots of this deep connection, researchers at Dartmouth created a computer program that could produce either music or movement. Slider bars— similar to those on a mixing board— were created to control either the motion of an animated ball or the single notes of a piano, but not both at the same time.

이 깊은 연관성의 근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다트머스 대학의 연구원들은 음악과 동작을 만들어 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음향장비의 슬라이드 바와 유사한 장치를 움직이는 공의 동작과 피아노의 음표를 제어하기 위해 제작했다. 하지만 둘을 동시에 제어하지는 못한다.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two very dissimilar groups: 50 college students in the U.S., and 87 villagers living in L’ak, a remote area of Cambodia, which is populated by the Kreung people. In this tribal group, music and dance mainly appear in ceremonies like weddings, funerals and animal sacrifices. The Kreung village is so isolated that members had never had any experiences with computers prior to the experiment.

실험 참가자는 아주 상이한 두 그룹으로, 미국 대학생 50명 그리고 크룽부족이 거주하는 캄보디아 벽지의 락이라는 마을의 원주민 87명 이었다. 이 부족그룹에게 있어 음악과 춤은 주로 결혼식이나 장례식 그리고 동물을 희생하는 의식 같은 것에서 등장한다. 크룽부족은 고립된 곳이라 실험에 앞서 원주민들은 아무도 컴퓨터에 대한 경험이 없었다.

In both the U.S. and Cambodian groups, participants were split into two groups for the experiment. All of them had to use the computer program to represent five different emotions: angry, happy, peaceful, sad and scared. But one group used the program in which the ball represented the emotion in movement, while the other used the program to play music to represent the feeling.

두 그룹 공히 실험을 위해 각각 또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모두 다 다섯 가지 감정-화난, 행복한, 평화로운, 슬픈, 그리고 두려운-을 표현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시용해야 했다. 하지만 한 그룹이 움직임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공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사용했고, 반면에 다른 그룹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음악을 연주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The program the scientists created allowed the participants to depict different aspects of the emotions. One slider bar, for example, controlled “rate,” which regulated how often notes or ball bounces occurred, better known to music lovers and dancers as beats per minute. Another handled “jitter” or the space between the notes or bounces. A third slider controlled the direction of either the music or the ball— whether the pitch or the ball moved up or down. The fourth handled the ratio of large to small movements: i.e., whether the pitch moved up quickly or slowly or the ball took large or small bounces. The final slider managed whether the music was consonant or dissonant or whether the ball moved smoothly or irregularly.

과학자들이 제작한 이 프로그램은 참가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양상의 감정을 묘사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 하나는 속도를 제어했는데, 이것은 음표나 공이 튀어 오르는 빈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음악 애호가나 무용가들한테는 BPM(Beats Per Minute)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다른 하나는 지터, 즉 음표들간이나 공의 도약과 도약 사이의 간격을 조절했다. 세 번째 슬라이드 바는 음악과 공의 방향, 즉 음의 높이 혹은 공이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을 제어했다. 네 번째 바는 작은 움직임에 대한 큰 움직임의 비율을 제어했다. 즉 음의 높이가 빨리 혹은 천천히 올라가는지 또는 공이 크게 튀는지 작게 튀는지 조절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 바는 음악이 조화를 이루는지 불협화음을 이루는지 또는 공이 매끄럽게 또는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지를 조절했다.

*클래식에서는 빠르기가 Allegro, Moderato, Andantino, Andante 등등으로 쓰인다. 그리고 현대에서 1분 동안에 얼마나 많은 4분 음표를 연주하는가에 따라 빠르기를 표시한다. 이런 측정 방식을 BPM(Beats Per Minute) 라고 부른다. 악보 상단에 'BPM=90' 또는 '♩=90'과 같은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

*[전자] 지터: 전압의 흔들림 등에 의한 순간적인 파형의 흐트러짐.

The authors write, “The critical question was whether subjects who used music to express an emotion set the slider bars to the same positions as subjects who expressed the same emotion with the moving ball.”

결정적인 질문은 감정을 표현하는데 음악을 사용한 피실험자들이 슬라이드 바의 위치를 움직이는 공으로 같은 감정을 표현한 피실험자들과 같은 위치에 놓느냐는 것이었습니다.” 라고 저자는 쓰고 있다.

And to a large extent, that was what the researchers found. In the American group, each parameter was used in a similar way to create an image of an emo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output was music or motion.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presence of a common structure,” the authors write.

그리고 상당한 정도로 위 질문이 연구자들이 알아낸 결과와 일치했다. 미국인 그룹에 있어 각각의 변수가 음악을 생성하든 동작을 생성하든 관계없이 감정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이 결과들은 공통적인 구조의 존재를 강력히 암시합니다.” 저자의 말이다.

---중략---

Overall, the study authors conclude, “[T]he dynamic features of emotion expression are cross-culturally universal, at least for the five emotions tested here… these expressions have similar dynamic contours in both music and movement.”

전반적으로 연구저자들이 다음과 같이 결론짓고 있다, “감정표현의 동적인 특징들은 다양한 문화에 걸쳐 보편적입니다, 적어도 여기서 실험한 다섯 가지 감정은 그렇습니다이런 감정표현들은 음악이나 동작에 있어 유사한 동적 윤곽을 가집니다.”

The study’s authors suggest that music may have evolutionary functions that aid survival, from “the soothing power of lullabies and the stimulating, synchronizing force of military marching rhythms” that can bind parents and children or entire nations together. The power of music may indeed be in its ability to move us, both literally and figuratively.

연구저자들은 부모와 아이를 묶어 주는 자장가의 달래는 힘과 전 국민을 하나로 묶는 군대 행군리듬의 격려하고 동조시키는 힘에서, 생존을 촉진하는 진화론적 기능을 음악이 가지고 있는지 모른다고 말한다. 음악의 힘은 아마 진정 우리를, 글자 그대로 그리고 비유적으로 다, 움직이는 그 능력에 있는지도 모른다.

 

 

Text copyright by mike[Kim young dae],

No part of this material maybe used or reproduced in any manner whatsoever without written permission
except in the case of brief quotations.

For more information; mike5007@hanmail.net


해설본 문의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영화, 미드, 영자신문 온라인스터디 모집; 클릭

Main Page로 이동

가격부담 없이 실전영어 능력 확실히 키워드립니다. 말 못하고 글 못쓰는 영어와 작별하십시오.

효과만점 mikekim 일대일 온라인 영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