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자신문/잡지 해설/The Economist

[이코노미스트] 독재정권과 인터넷

mike kim 2013. 10. 25. 12:03

Politics and the internet

Caught in the net

Why dictators are going digital

 

효과만점 mikekim 일대일 온라인 영어- 클릭하세요

영화, 미드, 영자신문 온라인스터디 모집; 클릭하세요   

 해설본 문의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WHEN thousands of young Iranians took to the streets in June 2009 to protest against the apparent rigging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much of the coverage in the Western media focused on the protesters’ use of Twitter, a microblogging service. “This would not happen without Twitter,” declared the Wall Street Journal. Andrew Sullivan, a prominent American-based blogger, also proclaimed Twitter to be “the critical tool for organising the resistance in Iran”. The New York Times said the demonstrations pitted “thugs firing bullets” against “protesters firing tweets”.

2009 6월 수천 명의 이란의 젊은이들이 명백한 대통령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거리로 나섰을 때 많은 서방미디어의 보도는 시위자들의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인 트위터 사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트위터가 아니면 이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라고 미국을 근거로 활동하는 저명한 월스트리트저널의 블로거 앤드류 설리번이 언명했다. 또한 트위터가  이란 내에서 저항운동을 조직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도구임을 단언했다. 뉴욕타임즈는 이 시위에서 악당들이 총알을 발사하는데 맞서 시위자들은 트윗을 발사했다고 했다. 

*take to the streets 거리로 나가다/ take to drink 술 마시는 버릇이 생기다, 술에 빠지다/take to the airwaves (라디오 따위의) 방송 기관 에 호소하다.

*rig the ballot 표를 부정 조작하다/ rig the market 시세를 조작하다/Allegations of vote/election rigging 투표/선거가 조작되었다는 주장/ 부정 선거a rigged[fraudulent] election

*pit sb/sth against sth; to test sb or their strength, intelligence, etc. in a struggle or contest against sb/sth else/ A chance to pit your wits against (ie compete with) our current quiz champion. 현재의 우리 퀴즈 챔피언과 대결할 기회

 

The idea that the internet was fomenting revolution and promoting democracy in Iran was just the latest example of the widely held belief that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the internet in particular, is inherently pro-democratic. In this gleefully iconoclastic book, Evgeny Morozov takes a stand against this “cyber-utopian” view, arguing that the internet can be just as effective at sustaining authoritarian regimes. By assuming that the internet is always pro-democratic, he says, Western policymakers are operating with a “voluntary intellectual handicap” that makes it harder rather than easier to promote democracy.

이란에서 인터넷이 혁명을 선동하고 민주주의를 증진한다는 생각은 통신기술, 특히 인터넷이 본질적으로 친민주주의적이라는 광범위한 믿음에 대한 최근의 실례였다. 이 즐겁고 인습타파적인 책에서 에브게니 모로초프는 이 사이버 이상주의적인 견해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인다. 그리고 인터넷은 마찬가지로 독재정권을 유지하는데도 유효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말로는, 인터넷이 늘 친민주주의적이라고 생각함으로 인해, 서방의 정책입안자들은 민주주의 증진을 수월하게 만들기 보다 더 힘들게 만드는 자발적 지적장애라는 것을 교묘히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foment unrest불안감을 조장하다 / foment an uprising반란을 선동하다[일으키다] /foment ill feeling반감을 야기하다

*make a stand against sth; argue, protest or fight because of sth you believe in / The intelligentsia must take a stand against the regime when writing about the state of the affairs in the country. 지식층이 중요한 국정 문제에 관해 글을 쓸 때 정권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해야 한다.

 

He starts with the events in Iran, which illustrate his argument in microcosm. An investigation by Al-Jazeera, an international news network based in Qatar, could confirm only 60 active Twitter accounts in Tehran. Iranian bloggers who took part in the protests have since poured cold water on the “Twitter revolution” theory. But the American government’s endorsement of the theory, together with the State Department’s request that Twitter delay some planned maintenance that would have taken the service offline for a few crucial hours at the height of the unrest, prompted the Iranian authorities to crack down on social networks of all kinds. Iranians entering the country were, for example, looked up on Facebook to see if they had links to any known dissidents, thus achieving the very opposite of what American policymakers wanted.

그는 이란에서의 사건들로 시작하는데, 이 사건들은 그의 주장을 축약해서 설명하고 있다. 카타르에 근거지를 둔 국제뉴스 네트워크인 알자지라의 조사로 테헤란에는 단지 60개의 활동적인 트위터 계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위에 참가한 이란의 블로거들은 그 후로 트위터 혁명이론에 찬물을 끼얹었다. 소요의 정점에 있는 결정적인 몇 시간 동안 트위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할 수도 있었던 계획보수를 트위터 측에 연기하라고 미 국무부에서 요청한 것과 함께 미국정부가 그 이론을 지지한 것은 이란당국이 모든 종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단속하도록 자극했다. 예를 들어, 자국으로 들어가는 이란인들은 페이스북상에서 반체제인사와 연계가 돼 있는지 조사를 받았다. 미국 정책입안자들이 원했던 바와 반대의 결과를 얻은 셈이다.

*계획 보수[計劃保守, planned maintenance]; 예방 보수를 위해 어떤 일정 시간을 정하여 정기적으로 기계의 보수·정비 작업을 실시하는 것.

*To take something offline is to discuss something in person or on the phone, rather than via e-mail or instant message conversation.

*crack down on sb/sth; to try harder to prevent an illegal activity and deal more severely with those who are caught doing it (…을) 엄하게 다스리다[단속하다], 엄벌에 처하다

The root of the problem, Mr Morozov argues, is that Western policymakers see an all-too-neat parallel with the role that radio propaganda and photocopiers may have played in undermining the Soviet Union. A native of Belarus, Mr Morozov (who has occasionally written for The Economist) says this oversimplification of history has led to the erroneous conclusion that promoting internet access and “internet freedom” will have a similar effect on authoritarian regimes today.

모로초프의 주장에 의하면, 문제의 근원은 서방 정책입안자들이 소비에트 연방을 해하는데 있어 라디오 선전과 복사기가 한 역할과 너무나도 필적할 만 한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벨로루시 출신의 모로초프(가끔 이코노미스트지에 기고했다)는 이러한 역사의 지나친 간략화는 인터넷 접근의 증진과 인터넷 자유가 오늘날 독재정권에 유사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잘못된 결론을 야기했다고 말한다.

 

In fact, authoritarian regimes can use the internet, as well as greater access to other kinds of media, such as television, to their advantage. Allowing East Germans to watch American soap operas on West German television, for example, seems to have acted as a form of pacification that actually reduced people’s interest in politics. Surveys found that East Germans with access to Western television were less likely to express dissatisfaction with the regime. As one East German dissident lamented, “the whole people could leave the country and move to the West as a man at 8pm, via television.”

사실 독재정권은 티브이 같은 다른 미디어 접근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자기들이 유리한 쪽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령, 서독 티브이에서 방영하는 미국드라마를 동독인들이 보게 허락한 것이 사람들을 달래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사실상 사람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누그러뜨린 것 같다. 조사에 의하면 서독 티브이를 볼 수 있는 동독인들이 정권에 대한 불만을 덜 표현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 동독 반체제인사는 이렇게 개탄했다, “저녁 8시가 되면 전 국민이 티브이를 통해 일치 협력해서 이 나라를 떠나 서방세계로 갈 수 있었다.”

*The nation rose[stood up] as one man. 거국일치하여 일어섰다.

 

Mr Morozov catalogues many similar examples of the internet being used with similarly pacifying consequences today, as authoritarian regimes make an implicit deal with their populations: help yourselves to pirated films, silly video clips and online pornography, but stay away from politics. “The internet”, Mr Morozov argues, “has provided so many cheap and easily available entertainment fixes to those living under authoritarianism that it has become considerably harder to get people to care about politics at all.”

모로초프는 독재정권이 그들 국민들과의 암묵적 거래--해적판 영화, 부질없는 비디오클립 그리고 온라인 포르노를 실컷 보는 대신 정치와는 가까이 지내지 말라는-- 같은, 오늘 날 사람들을 달래주는 결과를 초래하는 인터넷 사용의 많은 유사한 실례들을 목록으로 만들었다. 모로초프의 주장에 의하면, “인터넷이 독재 하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너무나도 많은, 싸고 간단히 입수할 수 있는 오락거리들을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이 정치에 신경 쓰게 하는 것이 상당히 힘들게 돼버렸다.” 고 한다. 

 

Social networks offer a cheaper and easier way to identify dissidents than other, more traditional forms of surveillance. Despite talk of a “dictator’s dilemma”, censorship technology is sophisticated enough to block politically sensitive material without impeding economic activity, as China’s example shows. The internet can be used to spread propaganda very effectively, which is why Hugo Chávez is on Twitter. The web can also be effective in supporting the government line, or at least casting doubt on critics’ position (China has an army of pro-government bloggers). Indeed, under regimes where nobody believes the official media, pro-government propaganda spread via the internet is actually perceived by many to be more credible by comparison.

소셜네트워크는 반체제인사를 색출하는데 다른 전통적 형태의 감시보다 더 싸고 수월한 방법을 제공한다. “독재자의 딜레마라는 말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예가 보여주듯, 검열기술은 경제활동을 방해하지 않고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을 차단하기에 충분히 세련되어있다. 인터넷은 선전을 아주 효과적으로 퍼뜨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휴고 차베스가 트위터를 이용한다. 웹 또한 정부노선을 지지하는데 있어, 아니면 적어도 비판자들의 입장에 의혹을 제기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사실 아무도 공식미디어를 믿지 않는 정권하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친정부 선전을 퍼뜨리는 것이 비교해 보면 사실상 더 믿을 만 하다고 다수의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다.

 

Authoritarian governments are assumed to be clueless about the internet, but they often understand its political uses far better than their Western counterparts do, Mr Morozov suggests. His profiles in “The Net Delusion” of the Russian government’s young internet advisers are particularly illuminating. Previous technologies, including the telegraph, aircraft, radio and television, were also expected to bolster democracy, he observes, but they failed to live up to expectations. The proliferation of channels means that Americans watch less TV news than they did in the pre-cable era. And by endorsing Twitter, Facebook and Google as pro-democratic instruments, the American government has compromised their neutrality and encouraged authoritarian regimes to regard them as agents of its foreign policy.

모로초프가 암시하는 바에 의하면, 독재정부가 인터넷에 무지한 것으로 보여지지만 종종 그들이 서방정부들 보다 인터넷의 정치적 용도를 훨씬 더 잘 이해하고 있다고 한다. “인터넷 망상에 나와 있는 러시아 정부의 젊은 인터넷보좌관들의 프로필이 잘 설명하고 있다. 그가 관찰하기로 전보, 항공기, 라디오 그리고 티브이를 포함한 이전의 기술 또한 민주주의를 받쳐줄 것으로 보였지만 기대에 부응하는 데는 실패했다. 채널의 증가가 의미하는 것은 미국인들이 케이블시대 이전보다 뉴스를 덜 시청한다는 것이다. 트튀터, 페이스북 그리고 구글을 친민주주의적 도구로 인정함으로써, 미국 정부는 이들의 중립성을 위협했고 독재정권으로 하여금 이들을 미국외교정책의 대리인으로 여기게 부추겼다.  
     

So what does Mr Morozov propose instead of the current approach? He calls for “cyber-realism” to replace “cyber-utopianism”, making it clear that he believes that technology can indeed be used to promote democracy, provided it is done in the right way. But he presents little in the way of specific prescriptions, other than to stres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in which technology is deploye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itself, as internet gurus tend to. Every authoritarian regime is different, he argues, so it is implausible that the same approach will work in each case; detailed local knowledge is vital. Yet having done such a good job of knocking down his opponents’ arguments, it is a pity he does not have more concrete proposals to offer in their place.

그러면 작금의 접근 대신에 모로초프가 제안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는 사이버현실주의사이버이상주의를 대체할 것을 요구한다. 올바르게 사용된다는 조건이라면 기술이 실로 민주주의를 증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믿는다고 분명히 하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 처방으로, 인터넷 전문가들이 그런 경향을 보이듯이 기술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기술이 활용되는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것 말고는 거의 제시하는 것이 없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개개의 독재정권은 달라서 각각의 경우 같은 접근이 유효할 것 이라는 것은 받아 들이기 힘들다. 개개 정권에 대한 자세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반대하는 이들의 주장을 넉다운시키는 멋진 성과를 거두고도 그것을 대신할 더 구체적인 대안이 없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With chapter titles and headings such as “Why the KGB wants you to join Facebook” and “Why Kierkegaard Hates Slacktivism” it is clear that Mr Morozov is enjoying himself (indeed, there may be a few more bad jokes than is strictly necessary). But the resulting book is not just unfailingly readable: it is also a provocative, enlightening and welcome riposte to the cyber-utopian worldview.

KGB는 당신이 페이스북에 가입하기를 원하는가?” 그리고 왜 키에르케고르는 슬랙티비즘을 싫어하는가?” 같은 장() 제목과 표제로 보아 모로조프 자신이 즐기고 있음이 분명하다(사실, 순전히 필요이상으로 몇몇 형편없는 농담이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결과로서 나온 책은 틀림없이 읽어 볼 만할 뿐만 아니라 사이버 이상주의 세계관에 있어 도발적이고 계몽적이며 환영 받을 반격이기도 하다. 

*Slacker(게으름뱅이, 책임 회피자)Activism(행동주의)이 결합한 신조어, 누구도 알아차릴 수 없을 정도의 소심하고 게으른 저항방식을 의미.

*riposte; a quick and clever reply, especially to criticism 반론, 반격

 

 

Text copyright by mike[Kim young dae],

No part of this material maybe used or reproduced in any manner whatsoever without written permission
except in the case of brief quotations.

For more information; mike5007@hanmail.net


해설본 문의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영화, 미드, 영자신문 온라인스터디 모집; 클릭

Main Page로 이동